반응형
■ 대입 연산자
우리가 등호로 알고 있는 =는 PHP를 포함한 프로그램 언어 대부분에서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. 예를 들어 $a=3은 변수 $a이 3과 같다는 의미가 아니라 3을 변수 $a에 저장(대입, 입력)한다는 의미다.
대입 연산자 |
예 |
동일한 표현 |
결과값 |
= |
$a = 10 |
|
10을 $a에 대입 |
+= |
$a += 2 |
$a = $a + 2 |
$a에 2를 더한 결과를 $a에 대입 |
-= |
$a -= 2 |
$a = $a - 2 | $a에서 2를 뺀 결과를 $a에 대입 |
*= |
$a *= 2 |
$a = $a * 2 |
$a에 2를 곱한 결과를 $a에 대입 |
/= |
$a /= 2 |
$a = $a / 2 |
$a를 2로 나눈 결과를 $a에 대입 |
%= |
$a %= 2 |
$a = $a % 2 | $a를 2로 더한 결과를 $a에 대입 |
.= |
$a .= "@" |
$a = $a . "@" |
$a에 "@"를 붙여서 $a 대입 |
substitution.php |
<html> <head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 /> <title>대입 연산자</title> </head> <? $a = 5; // $a에 5를 저장하면 echo $a . "<br/>"; // 변수값 5가 출력된다. echo "<hr/>"; $a += 3; // $a값 5에 3을 더한 결과갑 8을 다시 $a에 저장하면 echo $a . "<br/>"; // 변수값 8이 출력된다. echo "<hr/>"; $a -= 4; // $a값 8에 4를 뺀 결과갑 4를 다시 $a에 저장하면 echo $a . "<br/>"; // 변수값 4이 출력된다. echo "<hr/>"; $a *= 2; // $a값 4에 2를 곱한 결과갑 8를 다시 $a에 저장하면 echo $a . "<br/>"; // 변수값 8이 출력된다. echo "<hr/>"; $a /= 4; // $a값 8을 4로 나눈 결과값 2를 다시 $a에 저장하면 echo $a . "<br/>"; // 변수값 2이 출력된다. echo "<hr/>"; $a %= 2; // $a값 2를 2로 나눈 나머지 0을 다시 $a에 저장하면 echo $a . "<br/>"; // 변수값 0이 출력된다. echo "<hr/>"; $a = "사악"; // $a값 '사악'에 $a .= " 미소"; // '_미소'를 연결하여 변수 $a에 다시 저장하면 echo $a; // 변수값 사악 미소가 출력된다. ?> </html> |
출력결과 |
반응형
'PHP > PHP 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HP] 논리 연산자 (0) | 2014.12.09 |
---|---|
[PHP] 비교 연산자 (0) | 2014.12.09 |
[PHP] 문자열 연결 연산자 (0) | 2014.12.08 |
[PHP] 산술 연산자 (0) | 2014.12.08 |
[PHP] 변수 출력 - { } 중괄호의 사용 (0) | 2014.12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