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액션태그(Action Tag)
JSP 액션태그는 클라이언트 혹은 서버에게 어떤한 행동을 행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태그이다. JSP 페이지안에서 페이지와 페이지 사잉에 제어를 이동시킬 수도 있고 자바 빈을 사용할 수도 있다.
① JSP 액션태그의 형식은 JSP를 따르지 않고 XML 형식을 따른다.
② 시작 태그(<jsp:forward>)가 있으며 반드시 끝나는 태그(</jsp:forward>)가 있어야 한다.
③ 액션태그는 접두어(prefix) "jsp:"이 붙여서 "<jsp:"로 시작해야 한다.
형식1 |
<jsp:... 속성 = "값"> 내용 </jsp:...> |
예제1 |
<jsp:forward page = "yellow02.jsp"> <jsp:param name = "url" value = "red02.jsp"/> <jsp:param name = "news" value = "Happy New Year!"/> </jsp:forward> |
④ 액션 태그에 속성값만 지정하고 내용이 없을 경우에는 XML 규칙에 의해 끝나는 태그를 따로 기술하지 않고
시작 태그의 마지막 부분을 "/>"으로 마무리한다.
형식2 |
<jsp:... 속성 = "값/> |
예제2 |
<jsp:forward page = "yellow.jsp"/> |
※ 액션태그의 종류
태그의 종류 |
설 명 |
jsp:include |
-. 정적 혹은 동적인자원을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포함시킨다. -. 페이지를 모듈화 할 때 사용한다. |
jsp:forward |
-. 다른 사이트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. 페이지의 흐름을 제어할 때 사용한다. |
jsp:useBean |
-. 빈(Bean)을 생성하고 사용하기 위한 환경을 정의하는 액션태그이다. |
jsp:setProperty |
-. 액션은 빈에서 속성값을 할당한다. |
jsp:getProperty |
-. 액션은 빈에서 속성 값을 얻어올 때 사용한다. |
jsp:param |
-. <jsp:forward>, <jsp:include>, <jsp:plugin>과 같이 사용되어 인자를 추가할 때 사용한다. |
jsp:plugin |
-. JSP 사용자가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HTML을 생성해 준다. |
01. <jsp:forward> 액션 태그
-. <jsp:forward> 태그는 현재 JSP 페이지에서 URL로 지정한 특정 페이지로 넘어갈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.
-. <jsp:forward> 태그는 page 속성 값에 호출하고자 하는 페이지를 지정할 수 있다.
<jsp:forward page = "호출 할 페이지"/> |
# <jsp:forward> 액션 태그의 사용법을 알아보기
red01.jsp |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|
yellow01.jsp |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|
출력결과 |
풀이 |
실행결과를 보면 사용자가 주소란에 입력하여요청하는 페이지인 red01.jsp 파일의 내용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, yellow01.jsp 파일에 기술된 내용들만 화면에 나타날 것이다. 현재 실행 결과는 <jsp:forward> 태그에 의해서 yellow.jsp 이지만 웹 브라우저의 주소란에는 여전히 red01.jsp 파일명이 나타나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|
02. <jsp:param> 태그
-. <jsp:param> 태그는 요청한 페이지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.
-. 현재 페이지에서 요청한 페이지로 인자(parameter)와 인자값(value) 형태로 값을 넘겨준다. 일반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다.
<jsp:param name = "인자" value = "인자값"/> |
-. <jsp:param> 태그는 단독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<jsp:include>나 <jsp:forward> 태그의 내부에 기술하여 사용한다.
-. 단순히 page속성에 지정된 페이지로 이동할 것이 아니라 이동할 페이지에 자신의 정보를 파라미터 형식으로 전달 할 수 있는 태그가 <jsp:param> 태그이다.
<jsp:forward page = "호출할 페이지"> <jsp:param name = "name" value = "변수값"/> </jsp:forward> |
# <jsp:param> 액션 태그의 사용법을 알아보기
red02.jsp |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|
yellow02.jsp |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|
출력화면 |
03. <jsp:include> 액션 태그
-. <jsp:include> 태그는 현재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태그이다.
-. page 다음에는 삽입할 페이지의 주소를 기술하되 상대 경로나 절대 경로 둘다 설정할 수 있다.
-. flush 속성은 출력 버퍼(buffer)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내준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항상 "true"로 설정되어 있어야한다.
형식1 |
<jsp:... 속성 = "값"> 내용 </jsp:...> |
예제1 |
<jsp:forward page = "yellow02.jsp"> <jsp:param name = "url" value = "red02.jsp"/> <jsp:param name = "news" value = "Happy New Year!"/> </jsp:forward> |
# <jsp:include> 액션 태그의 사용법을 알아보기
main02.jsp |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|
sub01.jsp |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%> |
출력화면 |
※ <jsp:include> 액션 태그의 동작 원리
① main02.jsp가 요청되면
② 요청받은 main02.jsp 내의 문장들이 수행되다가 <jsp:include> 액션 태그를 만나면
흐름의 제어가 page 속성에 지정된 sub01.jsp 파일로 이동된다.
③ sub01.jsp 내의 문장들이 수행된 후에는 다시 제어가 main02.jsp 내의
<jsp:include> 액션 태그 다음 문장으로 이동된다.
④ main02.jsp 내의 남아있는 내용들이 수행된다.
⑤ 응답한다.
'JSP > JSP 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P] 쿠키를 이용한 마지막 방문일을 표시하는 프로그램 (0) | 2012.06.02 |
---|---|
[JSP] 쿠키(Cookie) (1) | 2012.06.02 |
[JSP] JSP에서 한글 처리 (0) | 2012.06.02 |
[JSP] response 객체 (0) | 2012.06.02 |
[JSP] request 객체 (2) | 2012.06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