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parameterClass
insert나 select의 where절 조건을 입력 할경우 파라메터로 참조할 클래스를 정의한다 프로퍼티명은 칼럼명과 같아야한다.
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정빈즈의 프로퍼티와 칼럼을 찾아 맵핑해주는것같지만 사용을 권장
ex)
<insert id="write" parameterClass="sajo.ModelBean">
insert into sajo_qa_table(num,name)
values(#num#,#name#)
</insert>
2.parameterMap
3.resultClass
select 를 했을경우 칼럼명과 빈즈의 프로퍼티명이 같을때 사용한다 결과값은 칼럼명과같은 빈즈의 프로퍼티에 자동으로 저장된다
ex)
<select id="allSelect" resultClass="sajo.ModelBean">
select * from sajo_qa_table
</select>
//결과값은 sajo패키지의 ModelBean클래스의 프로퍼티에 칼럼명에맞게 저장된다
4.resutlMap
select 를 했을경우 칼럼명과 빈즈의 프로퍼티명이 다를때 사용한다 결과값은 resutlMap에서 정의한 맵핑에따라 빈즈에저장된다
ex)
<resultMap class="sajo.ModelBean" id="qalist">
<result property="num" column="number" columnIndex="1"/>
<result property="name" column="id" columnIndex="2"/>
</resultMap>
<select id="allSelect" resultMap="model">
select * from sajo_qa_table
</select>
//결과값은 sajo패키지의 ModelBean클래스에 resultMap에서 정의한 프로퍼티에 칼럼값이 저장된다
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niee?Redirect=Log&logNo=130102206648